News & Activities
-
김영은 교수 연구팀, 단백질 및 고정화요소 없이 설계 가능한 종이 기반 DNA 센서 개발
김영은 교수 연구팀, 단백질 및 고정화요소 없이 설계 가능한 종이 기반 DNA 센서 개발김영은 교수 연구팀은 금 나노입자와 DNA를 결합하여, 1분 내에 표적 DNA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는 단백질 비사용(..
-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김상범 교수 2025 IEEE IEDM Tutorial Co-Chair 선임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김상범 교수2025 IEEE IEDM Tutorial Co-Chair 선임서울대 김상범 교수는 2025년 IEEE IEDM(International Electron Devices Meet..
-
서울대 재료공학부 김진영 교수 연구팀, 차세대 음이온 교환막 수전해용 코어-쉘 전기화학 촉매 개발
서울대 재료공학부 김진영 교수 연구팀, 차세대 음이온 교환막 수전해용 코어-쉘 전기화학 촉매 개발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김진영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AEMWE용 저비용∙고성능 Ru 기반 코어-쉘 촉매를 ..
-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박은수 교수, 본부 기획부처장 임명
서울대 재료공학부 박은수 교수, 본부 기획부처장 임명(임기: 2025.02.01.~2027.01.31.) 우리 학부 박은수 교수가 2025년 2월 1일자로 유홍림 총장 2기 기획부처장에 임명되었다. 임기..
-
이관형 교수 연구팀, 단결정 2차원 반도체 제작을 위한 새로운 합성법 개발
이관형 교수 연구팀(제 1저자: 문동훈 박사과정)이 대면적 단결정 2차원 반도체 박막 제조의 새로운 접근법을 제안하였다. 기판과 증착하는 박막의 결정구조와 격자상수가 유사해야 하는 기존의 “Epitaxy”..
-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주영창 교수 한국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 회장 선출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주영창 교수가 한국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 제16대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임기는 2025년 1월부터 2년간이다. 한국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는 1993년 설립되어 전자부품의 제조에 ..
-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주영창 교수, 한국인 최초로 미국재료학회(MRS) 회장 당선
서울대 공대 재료공학부 주영창 교수,1만 3000여명 회원 보유한 세계 최대 규모의 미국재료학회 이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을 역임한 주영창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가 한국인 최초로 세계..
-
강기훈 교수 연구팀, 페로브스카이트 박막 형성 메커니즘 기반 트랜지스터 성능 향상법 개발
재료공학부 강기훈 교수 연구팀, 페로브스카이트 박막 형성 메커니즘 기반 트랜지스터 성능 향상법 개발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강기훈 교수, 물리천문학부 이탁희 교수 연구팀 (제1저자: 공태현 학부생, 김용진 박사과정)이 ..
-
강승균 교수 연구팀, 뇌졸중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한 세계 최고 수준 민감도 유연 센서 개발
미세균열과 메타구조 결합으로 초고감도 변형률 센서 기술 구현 강승균 교수 연구팀의 생분해성 메타균열을 이용한 초고감도 변형률 센서 기술이 ‘Science Advances’ 학술지에 출판되었다. 이번..
-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서용석 교수 고농도 현탁액에서 최대 입자 충진률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이론적 모델개발
우리는 현탁액에서 최대 입자 충진률(ϕmax)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모델은 충진입자의 모든 부피 분율에서 조건 없이 현탁액 점도를 모델링할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며, 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