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 National Univ. DMSE
Notice

Seminar & Colloquium

Seminar & Colloquium
[세미나: 9월 29일(목), 오후 6시] 한국화학연구원, 유영창 선임연구원

[세미나: 9월 29일(목), 오후 6시] 한국화학연구원, 유영창 선임연구원

 

Title

광경화 점.접착소재의 개발 및 응용

 

Speaker

한국화학연구원 정밀화학융합연구센터, 유영창 선임연구원

 

Education

- Postdoctoral Fellow

Oct. 2014- ct. 2016: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University of Michigan, USA

Advisor: Prof. Jinsang Kim

- Ph.D in Engineering 

Mar. 2009 - Aug. 2014: Department of Applied Organic Material Engineering, Inha University, Korea

Advisor: Prof. Ji Ho Youk

- B. S. in Engineering 

Mar. 2001 - Feb. 2008: Department of Textile Engineering, Inha University, Korea 

 

 

Professional Experience

- Jan. 2020 – Present : Senior Researcher,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KRICT), Center for Advanced Specialty Chemicals, Ulsan, Korea 

- Sep. 2016 – Jan. 2020 : Macromolecular Design PJT, LG Chem.

 

| Date | Thursday, September 29th, 2022

| Time | 18:00 ~  

| Venue | 131동 신소재공동연구소 제 1세미나실

 

[Abstract]

 

1. 서론

 접착제는 물체와 물체를 접합하는 특수한 성질을 가진 고분자 물질이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보는 것처럼 종류도 다양하여 흔히 사용되는 가정용 접착제를 비롯하여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금속 접합용 접착제나 수술 후 절단부분을 봉합하지 않고 접착시키는 의료용 접착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접착 개념의 일종에 속하기는 하지만 일시적 접착 효과를 나타내고자 할 경우에 사용되는 경우를 점착제 혹은 감압성 접착제라 한다. 접착 형성에 분자 간 상호작용이 존재한다는 점에서는 접착과 동일하지만 고화현상이 수반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별된다.  

 점착제 역시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는 포스트잇과 가정용 테이프에서부터 산업이 고도화됨에 따라 박형화, 대형화 및 고기능화를 요구하는 가전, 디스플레이와 같은 정보전자산업 뿐만 아니라 최첨단이라 일컬어지는 자동차, 우주, 항공 분야에 이르기까지 전 산업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1. 

 

2. 본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아크릴 점착수지는 중합공정이 간단하고 물성이 우수하여 대표적인 점착소재로 개발되어 왔다. 하지만 산업계에서 요구되는 물성이 다양해지고, 고기능의 점착소재가 요구됨에 따라 기존과 차별화된 소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피착체에 영향이 적은 높은 점착 신뢰성이나 내박리성, 가혹한 환경조건에서의 접착신뢰성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정보 전자 기기나 자동차 등의 디자인에 따라 곡면기재에 점착제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에 의해 발생하는 재료의 반발력을 억제하는 밀착성도 요구된다.

 아크릴 점착제의 분자량이 커지거나 가교밀도가 높아질수록 응집력이 커지게 된다. 하지만 분자량이 너무 커지게 되면 용융점도는 분자량의 3.4승에 비례하여 커지게 되어 유동성이 나빠진다. 또한 가교밀도가 작을 경우에는 유동성이 크다. Tack은 유동성에 기인하는데, 가교밀도가 증가할수록 유동성이 떨어져 낮은 tack값을 갖게 된다. 점착력을 갖기 위해서는 고분자가 유동성을 갖고 기재와의 강한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기재쪽으로 확산해야 한다. 가교밀도가 증가하면 이러한 확산이 늦어지게 되어 점착력이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외부자극에 의해 박리력이 제어되는 점착제의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점착소재의 개발은 고기능을 요구하는 최근 고도화되는 산업의 요구에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경화가 가능한 점착소재의 개발을 위한 친환경적인 합성법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가교밀도 제어를 통한 박리력이 감소하는 점착소재의 개발을 진행하였다. 

 

* 참고문헌

1) D. Satas, Handbook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echnology, Satas & Associates, Warwick, 3rd edition, 1999.

 

| Host | 권민상 교수 (880-8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