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 National Univ. DMSE
Notice

Seminar & Colloquium

Seminar & Colloquium
[세미나: 3월 4일(화), 오전 11시] 황석영 박사, 교토대학교 공학연구과 재료공학전공 특정조교수

| Titles | 고Mn강에서의 세레이션 거동 및 동적 변형 시효의 멀티스케일 연구


| Speaker | 황석영 박사

                   교토대학교 공학연구과 재료공학전공 특정조교수

 

*Professional Experience

- 2025. 2. ~ 현재 : 교토대학교 공학연구과 재료공학전공, 특정조교수
- 2025. 4. : 동경과학대학교(구: 동경공업대학교) 물질이공학원, 조교수 내정

*Education
- 2015. 8. :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부, 학사
- 2016. 4. : 일본 정부 국비유학생 선정
- 2018. 3. : 교토대학교 공학연구과 재료공학전공, 석사
- 2021. 3. : 교토대학교 공학연구과 재료공학전공, 박사
 

| Date | Tuesday, March 4th, 2025


| Time | 11:00~


| Venue | 33동 328호

 

| Abstract |
금속의 변형 거동은 본질적으로 불균일하며, 거시적인 변형 거동 또한 불균일한 국소적인 변형을 반영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탄소를 포함한 고Mn강에서 관찰되는 세레이션(serration) 거동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일부 고Mn강에서는 응력-변형률 곡선에서 톱니 모양의 응력 변동이 나타나며, 이러한 세레이션 거동이 가공 경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세레이션 거동은 동적 변형 시효(Dynamic Strain Aging, DSA) 혹은 Portevin–Le Chatelier (PLC) 효과라고 알려진, 가동 전위와 고용 원자의 동적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는 거시적인 세레이션 현상과 나노 스케일에서의 DSA 효과가 개별적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두 현상을 연결하여 해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이미지 상관법(Digital Image Correlation, DIC)을 활용하여, 고Mn강에서 발생하는 세레이션 거동이 시편 내 PLC 밴드로 특정되는 국소 변형대의 형성, 전파, 소멸 과정과 완벽하게 대응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장 시험 중 실시간 X선 회절(In-situ synchrotron XRD during tensile test) 분석을 통해 PLC 밴드 내에서 전위의 증가, 탄소에 의한 전위의 고착 및 이탈 과정이 반복적으로 발생함을 관찰하였다. 나아가, 실시간 투과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해 전위의 슬립 거동을 분석함으로써, 거시적 수준에서 나노 스케일까지 세레이션 거동의 발생 원인과 이로 인한 역학적 응답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발표에서 상세히 논의할 예정이다.

| Host | 최인석 교수 (02-880-1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