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 National Univ. DMSE
Notice

Seminar & Colloquium

Seminar & Colloquium
[콜로퀴움: 10월 18일(수), 오후 5시] 김성준 교수, 포항공대

[콜로퀴움: 10월 18일(수), 오후 5시] 김성준 교수, 포항공대

 

Title

자동차용 첨단 고강도 강판 개발 현황 및 적용을 위한 이슈(AHSS and issues for application)

 

Speaker

김성준 교수, 포항공대 철강에너지소재대학원

 

Education

1976. 3 ~ 1980. 2 | 서울대학교 금속공학 학사 

1980. 3 ~ 1932. 2 | KAIST 재료공학 석사

1985. 8 ~ 1990. 5 | Univ.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재료공학 박사

 

Major Careers

2020. 09 ~ | 포항공대 철강에너지소재대학원 대학원장

2011. 12 ~ | 포항공대 철강에너지소재대학원 교수

1982. 03 ~ 2011. 11 | 한국재료연구원 그룹장/부장/선임연구본부장

2007. 01 ~ |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

2009. 05 ~ 2013. 04 |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전문위원

2013. 05 ~ 2015. 04 |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위원

2019. 01 ~ 2019. 12 | 대한금속재료학회 회장

2019. 10 ~ 2022. 10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소재부품장비 기술특별위원회 위원

 

| Date | Wednesday, October 18th, 2023

| Time | 17:00 ~ 

| Venue | 

 

[Abstract]

 최근 자동차 산업에서의 핵심 이슈로 알려져 있는 CO2 저감과 승객의 안전 확보를 위해 재료 분야에서 가장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은 차체 경량화라고 할 수 있다. 철강사들은 알루미늄, 마그네슘, 플라스틱 등 경량재료들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고강도 고연성 강재를 개발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목표로 삼고 있으며 최근에는 인장강도 1,500 ~ 2,000 MPa급의 초고강도 강재가 개발되어 적용하고 있거나 상용화를 위한 눈앞에 두고 있다.

 본 세미나에서는 자동차 차체 및 부품 제조 시 급속도로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첨단 고강도 판재(AHSS: DP, TRIP, TWIP, Hot Stamping)에 대한 최근의 연구 개발 동향과 함께 강재의 고강도화에 따라 수반되는 핵심적인 문제점 (성형성, 수소취성, LME) 및 그 해결을 위한 연구기관들과 철강사들의 노력 등을 소개하고자 한다.

 

| Host | 한흥남 교수 (02-880-9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