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 National Univ. DMSE
msE-space
Seoul National Univ. DMSE
msE-space
News & Activities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박민혁 교수, 대한금속·재료학회 (KIM) 이달의 소재혁신 신진연구자 선정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박민혁 교수가 2023년 2월 1일 대한금속·재료학회(KIM)의 이달의 소재혁신 신진연구자로 선정되었다. 박민혁 교수는 반도체
오현석 박사 (재료공학부 07, 석박통합 12),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매디슨캠퍼스 재료공학부조교수 임용
재료공학부 동문 오현석 박사(학부 07, 석박통합 12)가 2023년 1월 1일자로 미국의 명문 주립대인 위스콘신대학교 매디슨캠퍼스(UW-Madison)의
Professor In-Ho Jung has been appointed as an Associate Editor of the Journal of the American Ceramic Society
Prof. In-Ho Jung has been appointed as an Associate Editor of Journal of the American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선정윤 교수팀-기계공학부 김호영 교수팀 고출력밀도 소프트 하이드로젤 액추에이터 개발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선정윤 교수팀-기계공학부 김호영 교수팀 고출력 소프트 하이드로젤 액추에이터 개발 서울대학교 선정윤·김호영 교수 연구팀(제1저자:나현욱, 강용우, 박창서 연구원, 정소현 연구조교수)이 팽압과 전기삼투를 활용하여 빠르게 큰 힘을 낼 수 있는 소프트 젤 액추에이터를 개발하였다. 해당 액추에이터는 외부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한흥남 교수,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선출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한흥남 교수가 2023년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신임 정회원으로 선출됐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과학기술 분야에서 20년 이상 활동하며 선도적인 연구 성과를 내고, 해당 분야의 발전에 현저하게
서울대학교 이태우 교수 연구팀, 세계 최고 효율 대면적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다이오드 개발
서울대학교 이태우 교수 연구팀(제1저자: 김영훈 박사, 박진우,김성진 연구원)이 세계 최고 효율의 대면적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다이오드를 개발하였다. 기존 벌크 다결정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다이오드의 결정
서울대 재료공학부 김영은 교수, MIT 테크놀로지 리뷰 코리아 ’35세 미만 젊은 혁신가상’ 수상
서울대 재료공학부 김영은 조교수, MIT 테크놀로지 리뷰 코리아 ’35세 미만 젊은 혁신가상’ 수상자로 선정 MIT 테크놀로지 리뷰가 선정하는 ’35세 미만 젊은 혁신가상 (Innovators Under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박민혁 교수 연구팀, InfoMat에 Perspective 논문 게재 및 Front Cover Image 선정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박민혁 교수 연구팀이 Dresden Technische Universität(독일)의 Thomas Mikolajick 교수와 함께 ‘InfoMat’지 (IF: 24.798)에 fluorite-structured ferroelectrics를 활용한 neuromorphic devices에 관한 perspective 논문을 게재하였다. Neuromorphic Computing은 현재 폰노이만 구조 archietecture에서 문제가 되고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강기석 교수 연구팀, Nature Reviews Materials에 Review 논문 게재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강기석 교수 연구팀, Nature Reviews Materials에 Review 논문 게재 강기석 교수 연구팀 (제 1저자: 김지현, 김영수, 유재균 연구원)이 Nature Reviews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황철성 석좌교수 연구팀, 차세대 상변화 메모리 개발 및 동작 원리 규명
원자층증착법을 이용한 차세대 초격자 상변화 메모리 개발 및 동작 원리 규명, ‘Advanced Materials’에 게재 황철성 석좌교수 연구팀(제 1저자: 유찬영)이 원자층증착법을 이용한 차세대 초격자 상변화 메모리를
News & Activities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박민혁 교수, 대한금속·재료학회 (KIM) 이달의 소재혁신 신진연구자 선정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박민혁 교수가 2023년 2월 1일 대한금속·재료학회(KIM)의 이달의 소재혁신 신진연구자로 선정되었다. 박민혁 교수는 반도체
오현석 박사 (재료공학부 07, 석박통합 12),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매디슨캠퍼스 재료공학부조교수 임용
재료공학부 동문 오현석 박사(학부 07, 석박통합 12)가 2023년 1월 1일자로 미국의 명문 주립대인 위스콘신대학교 매디슨캠퍼스(UW-Madison)의
Professor In-Ho Jung has been appointed as an Associate Editor of the Journal of the American Ceramic Society
Prof. In-Ho Jung has been appointed as an Associate Editor of Journal of the American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선정윤 교수팀-기계공학부 김호영 교수팀 고출력밀도 소프트 하이드로젤 액추에이터 개발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선정윤 교수팀-기계공학부 김호영 교수팀 고출력 소프트 하이드로젤 액추에이터 개발 서울대학교 선정윤·김호영 교수 연구팀(제1저자:나현욱, 강용우, 박창서 연구원, 정소현 연구조교수)이 팽압과 전기삼투를 활용하여 빠르게 큰 힘을 낼 수 있는 소프트 젤 액추에이터를 개발하였다. 해당 액추에이터는 외부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한흥남 교수,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선출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한흥남 교수가 2023년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신임 정회원으로 선출됐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과학기술 분야에서 20년 이상 활동하며 선도적인 연구 성과를 내고, 해당 분야의 발전에 현저하게
서울대학교 이태우 교수 연구팀, 세계 최고 효율 대면적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다이오드 개발
서울대학교 이태우 교수 연구팀(제1저자: 김영훈 박사, 박진우,김성진 연구원)이 세계 최고 효율의 대면적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다이오드를 개발하였다. 기존 벌크 다결정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다이오드의 결정
서울대 재료공학부 김영은 교수, MIT 테크놀로지 리뷰 코리아 ’35세 미만 젊은 혁신가상’ 수상
서울대 재료공학부 김영은 조교수, MIT 테크놀로지 리뷰 코리아 ’35세 미만 젊은 혁신가상’ 수상자로 선정 MIT 테크놀로지 리뷰가 선정하는 ’35세 미만 젊은 혁신가상 (Innovators Under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박민혁 교수 연구팀, InfoMat에 Perspective 논문 게재 및 Front Cover Image 선정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박민혁 교수 연구팀이 Dresden Technische Universität(독일)의 Thomas Mikolajick 교수와 함께 ‘InfoMat’지 (IF: 24.798)에 fluorite-structured ferroelectrics를 활용한 neuromorphic devices에 관한 perspective 논문을 게재하였다. Neuromorphic Computing은 현재 폰노이만 구조 archietecture에서 문제가 되고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강기석 교수 연구팀, Nature Reviews Materials에 Review 논문 게재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강기석 교수 연구팀, Nature Reviews Materials에 Review 논문 게재 강기석 교수 연구팀 (제 1저자: 김지현, 김영수, 유재균 연구원)이 Nature Reviews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황철성 석좌교수 연구팀, 차세대 상변화 메모리 개발 및 동작 원리 규명
원자층증착법을 이용한 차세대 초격자 상변화 메모리 개발 및 동작 원리 규명, ‘Advanced Materials’에 게재 황철성 석좌교수 연구팀(제 1저자: 유찬영)이 원자층증착법을 이용한 차세대 초격자 상변화 메모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