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 National Univ. DMSE
msE-space
Seoul National Univ. DMSE
msE-space
News & Activities
이관형 교수 연구팀, 3차원 미세구조체 제작을 위한 그래핀 기반 식각 마스크 개발
이관형 교수 연구팀(제 1저자: 김지우 박사과정)이 복잡한 3차원 미세구조체를 제작을 위한 그래핀 기반 식각 마스크를
이관형 교수 연구팀, 2차원 물질 위 0차원 분자결정 유전체의 반데르발스 에피택시 성장 연구 발표
이관형 교수 연구팀 (제 1저자: 류희제 박사, 김현준 박사과정)이 2차원물질인 그래핀 위에 0차원 분자 결정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박민혁 교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표창 수상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박민혁 교수가 과학기술진흥으로 국가 발전에 이바지한 공로가 크므로 2024년 4월 22일 ‘제 57회
서울대 (주영창, 박은수 교수)-DGIST 연구팀, 이산화탄소로부터 에탄올을 생산하는 촉매 개발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주영창, 박은수 교수와 DGIST 에너지공학과 남대현 교수 연구팀은 야금학 기반의 새로운 공정을 통해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이재욱 연구원(지도교수: 박민혁), 「대학원 대통령과학장학금」 장학생 선정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박민혁 교수님 연구실 이재욱 연구원(박사과정)이 「대학원 대통령과학장학금」 장학생으로 선정되었다. 대학원 대통령과학장학금은 석‧박사 이공계
2024학년도 겨울 학부 인턴프로그램 우수 인턴 수상자 안내
2024학년도 겨울 학부 인턴프로그램 우수 인턴 시상식이 지난 3월 29일 오전 9시 30분에 33동 125호
이관형 교수 연구팀, 2차원 물질 기반 전기적으로 구속된 중성 엑시톤의 전계발광 최초 구현
이관형 교수 연구팀은 (제1저자: 신준철 박사, 정재환 박사)이 2차원 물질 기반 발광 트랜지스터를 통해 전기적으로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강기훈 교수 학부생 연구팀 기초교육원 주관 2023 학부생 연구지원 프로그램 ‘최우수상(총장상)’ 선정
이관형 교수 연구팀은 (제1저자: 신준철 박사, 정재환 박사)이 2차원 물질 기반 발광 트랜지스터를 통해 전기적으로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이태우 교수 연구팀, Nature Nanotechnology 에 논문 게재
이태우 교수 연구팀 (제 1저자: 이현동 박사, 우승제 박사, 김성진 박사과정)이 Nature Nanotechnology 지에 세계 최초 탠덤구조 페로브스카이트 발광다이오드에 관한 연구를 게재하였다. 연구팀은 하단의 페로브스카이트 단일소자와 상단의 유기 발광 단일소자를 결합한 디자인으로 탠덤 구조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서용석 교수 고성능 비침강 자기유변재료 개발
자기유변유체(MR)는 일반적으로 자성 입자가 비자성매질에 분산되어 있는 현탁액(suspension)을 말한다. 외부 자기장이 가해지면 단시간 내에 유사 상전이가 일어나 항복 응력이 발생하고, 자기장이 해제되면 현탁액상태로 돌아간다. 이러한
News & Activities
이관형 교수 연구팀, 3차원 미세구조체 제작을 위한 그래핀 기반 식각 마스크 개발
이관형 교수 연구팀(제 1저자: 김지우 박사과정)이 복잡한 3차원 미세구조체를 제작을 위한 그래핀 기반 식각 마스크를
이관형 교수 연구팀, 2차원 물질 위 0차원 분자결정 유전체의 반데르발스 에피택시 성장 연구 발표
이관형 교수 연구팀 (제 1저자: 류희제 박사, 김현준 박사과정)이 2차원물질인 그래핀 위에 0차원 분자 결정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박민혁 교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표창 수상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박민혁 교수가 과학기술진흥으로 국가 발전에 이바지한 공로가 크므로 2024년 4월 22일 ‘제 57회
서울대 (주영창, 박은수 교수)-DGIST 연구팀, 이산화탄소로부터 에탄올을 생산하는 촉매 개발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주영창, 박은수 교수와 DGIST 에너지공학과 남대현 교수 연구팀은 야금학 기반의 새로운 공정을 통해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이재욱 연구원(지도교수: 박민혁), 「대학원 대통령과학장학금」 장학생 선정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박민혁 교수님 연구실 이재욱 연구원(박사과정)이 「대학원 대통령과학장학금」 장학생으로 선정되었다. 대학원 대통령과학장학금은 석‧박사 이공계
2024학년도 겨울 학부 인턴프로그램 우수 인턴 수상자 안내
2024학년도 겨울 학부 인턴프로그램 우수 인턴 시상식이 지난 3월 29일 오전 9시 30분에 33동 125호
이관형 교수 연구팀, 2차원 물질 기반 전기적으로 구속된 중성 엑시톤의 전계발광 최초 구현
이관형 교수 연구팀은 (제1저자: 신준철 박사, 정재환 박사)이 2차원 물질 기반 발광 트랜지스터를 통해 전기적으로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강기훈 교수 학부생 연구팀 기초교육원 주관 2023 학부생 연구지원 프로그램 ‘최우수상(총장상)’ 선정
이관형 교수 연구팀은 (제1저자: 신준철 박사, 정재환 박사)이 2차원 물질 기반 발광 트랜지스터를 통해 전기적으로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이태우 교수 연구팀, Nature Nanotechnology 에 논문 게재
이태우 교수 연구팀 (제 1저자: 이현동 박사, 우승제 박사, 김성진 박사과정)이 Nature Nanotechnology 지에 세계 최초 탠덤구조 페로브스카이트 발광다이오드에 관한 연구를 게재하였다. 연구팀은 하단의 페로브스카이트 단일소자와 상단의 유기 발광 단일소자를 결합한 디자인으로 탠덤 구조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서용석 교수 고성능 비침강 자기유변재료 개발
자기유변유체(MR)는 일반적으로 자성 입자가 비자성매질에 분산되어 있는 현탁액(suspension)을 말한다. 외부 자기장이 가해지면 단시간 내에 유사 상전이가 일어나 항복 응력이 발생하고, 자기장이 해제되면 현탁액상태로 돌아간다. 이러한